자유게시판
분노의질주
2022-11-09 조회수 209 0
아깽이
2022-11-09 조회수 486 0
아침부터 또 코인 개박살나있네부동산이고 주식이고 코인이고 되는게없구먼
플레이스테이션
2022-11-09 조회수 217 0
오주미
2022-11-09 조회수 276 0 1
2016년에 서울 34평 입주권 4.5억에 매입해서 2020년에 입주했는데요.작년 고점 18억 찍고 현재 13억대에 매물이 하나씩 나오는데,1주택자에 대출도 없어서인지 폭락해도 별생각 없더군요.오히려 내년쯤 더 떨어지면 여윳돈으로 옆단지 하나더 사둘 생각에 계산기만 두드립니다.
그날처럼
2022-11-09 조회수 194 0
몇 년째 부동산 투자를 하고 있다보니 일상생활에서 대화의 주제가 부동산인 경우가 많습니다.부동산 블로그, 네이버 인플루언서, 브런치작가로 활동하며 부동산 카페에도 가끔 글을 남기다 보니 온라인에서도 부동산 이야기가 대부분이 되었네요.부동산 투자를 하고 계신분들과는 요즘 어디 투자하고 있냐, 어느지역 어떻냐 등의 이야기를 하기도 하구요. 내집마련을 꿈꾸는 분들과는 내집마련 하는 방법이나, 청약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도 합니다.그리고 사회초년생이나 아직 모아둔 돈이 많지 않은 분들과도 이야기를 나누기도 합니다. 특히 최근에 대화를 나눈 분들 중, 이 부류가 많았기에 오늘은 이 분들을 위한 이야기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부동산은 관심있는데 시드머니가 없어서 못하겠어요.시드 모으고 부동산 투자하려구요.사회초년생이나 돈을 많이 모으지 못한 분들과 부동산 이야기를 나누면 가장 많이 듣는 이야기입니다. 시드머니 중요하죠. 시드머니가 중요하고, 시드머니가 있으면 부동산 투자에 유리한 것은 맞습니다.사회초년생때 재테크 책을 보다보면 자주 등장하는 말이 있습니다.'목돈 1억만들기가 중요하다. 1억 만들기 전에는 적금예금 넣고 안전하게 모아라' 입니다.저도 이 말이 법인지 알았습니다. 월급의 몇프로는 적금하고, 가계부적고, 소비는 얼마 이하로 줄이면서 1억 시드 만들기에 노력했었습니다.그렇다면, 시드머니 1억을 모으면 부동산 투자를 할 수 있을까요? 이 글을 보고 있는 분들 중 1억을 모으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 제 주변에도 1~2억을 모았는데, '이 돈으로 아파트 살수 있는데가 없다. 시드가 부족해서 부동산은 못하겠다' 라고 말하는 분들이 있습니다.시드는 얼마를 모아도 부족합니다. 누군가에게는 3억이 있어도 부족할거고, 누군가는 10억이 있어도 부족할 겁니다.왜냐구요? 우리는 항상 내가 가진 돈 보다 더 좋은 것을 원하니까요.부동산 투자 시드가 핵심은 아니다.부동산 투자에서 시드는 당연히 중요합니다. 하지만 그것보다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바로 정보력이고, 실행력입니다. 투자는 자기 예산에 맞춰서 투자하는 것입니다.누군가는 1억으로 투자할 곳이 없다고 하지만, 누군가는 1억으로 집을 2채 3채를 사기도 합니다.1억으로 어떻게 집을 사냐고 하면, 당연히 서울경기에는 못 삽니다. 지방으로 가야죠.지방에 집값이 오르냐구요? 오르는 지역, 오르는 아파트를 찾아가야죠. 그런 곳이면 이미 투자자가 먹고 빠지는곳 아니냐구요? 그럼 그 투자자가 빠지고 가는 곳을 찾아가야죠.자기 예산에 맞춰서 투자계획을 짜고, 자기 포지션에 맞춰서 투자 전략을 짜는겁니다. 이 돈으로 할게 없다. 라고 하면 더 큰돈이 생겨도 하는게 쉽지 않을 겁니다.하락장인것 같아 무서운가요?부동산 하락장이다. 급매가 출현한다고 하는 뉴스 많이보셨을 겁니다. 하락장이 와서 상투잡을까봐 무서우신가요?개인적으로는 지금의 상황이 일시적 조정장이라고 생각하지만, 하락장이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그런 분들이라도 너무 걱정하지마세요.대한민국 부동산은 아무리 떨어져도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론 같은 상황은 오지 않습니다. 정부에서 가계부채로 나라가 파산할정도로 대출을 많이 해주지도 않았고, 대부분 주택보유자들은 1주택자여서 몇억씩 떨어진 가격에 사는 집을 내놓을 사람이 많지도 않습니다.그리고 시드가 적어서 고민 중이신데, 떨어져봐야 얼마나 떨어지겠어요? 인구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 부동산은 장기적으로 우상향 할 수 밖에 없습니다.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부동산 무경험자에서, 부동산 투자 경험이 있는 투자자로 바뀌게 된다는 점입니다.금수저가 아닌 이상 첫집부터 내가 원하는 집, 좋은집에 살수는 없습니다. 작은집 싼집에서 조금더 큰집으로, 더 좋은집으로 몇차례 이동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부동산을 경험해본사람일수록 부동산 시장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지식이 쌓여, 2차 3차 매수시에는 제대로된 투자를 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너무 겁내지 마세요. 언젠가 도전해야될 부동산투자라면, 남들이 하락장이라고 말할때가 오히려 기회가 될수도 있겠네요.여기까지 말하고 나면, 부동산 투자 경험없는 지인들이 다시 물어보는게 있습니다."내가 돈이 x만원 있는데, 그럼 뭐할 수 있어? 뭐하면돼?"부동산 소액투자 방법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다 알려드리기엔 글이 너무 길어지네요.부동산 투자 너무 어려워마시고, 하나씩 차근차근 공부해나가세요.성공적인 내집마련과 부동산 투자를 응원하겠습니다. 
ewo
2022-11-08 조회수 274 0
게시판 썸네일
기사나오고나서 6개월뒤 폭등판단은 각자하시길
참조은부동산
2022-11-08 조회수 185 0 1
분위기에 휩쓸려서 급한 맘에 여기저기 알아보고 다녔는데 결국 안사길 잘했네
HOT6
2022-11-08 조회수 162 0
이 순위는 2022년 8월 1일 부터 2023년 7월 말까지 국내건설공사 수주에 적용됩니다.순위회 사 명토건 시평액전년도 순위지역1 삼성물산(주) 21조 9,472억1서울2 현대건설(주) 12조 6,041억2서울3 디엘이앤씨(주) 9조 9,588억8서울4 (주)포스코건설 9조 6,123억4경북5 지에스건설(주) 9조 5,642억3서울6 (주)대우건설 9조 2,305억5서울7 현대엔지니어링(주) 9조 1,185억6서울8 롯데건설(주) 7조 2,954억7서울9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5조 3,560억10서울10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주) 4조 9,160억9서울11 (주)호반건설 3조 5,626억13서울12 디엘건설(주) 3조 4,723억12인천13 (주)한화건설 3조 4,473억11경기14 대방건설(주) 3조 643억15경기15 금호건설(주) 2조 5,529억22전남16 코오롱글로벌(주) 2조 4,119억16경기17 (주)태영건설 2조 3,446억14경기18 중흥토건(주) 2조 2,934억17광주19 계룡건설산업(주) 2조 2,909억18대전20 제일건설(주) 2조 2,843억24전남21 (주)서희건설 2조 2,746억23경기22 두산에너빌리티(주) 2조 141억51경남23 동부건설(주) 1조 7,975억21서울24 두산건설(주) 1조 7,951억28서울25 한신공영(주) 1조 6,830억20경기26 삼성엔지니어링(주) 1조 6,796억19서울27 (주)케이씨씨건설 1조 5,547억32서울28 (주)동원개발 1조 5,457억26부산29 우미건설(주) 1조 5,419억25전남30 (주)호반산업 1조 5,074억35경기31 (주)한라 1조 4,788억29서울32 (주)반도건설 1조 4,613억34서울33 쌍용건설(주) 1조 4,499억30서울34 신세계건설(주) 1조 4,297억37서울35 (주)부영주택 1조 4,222억27서울36 (주)금강주택 1조 2,765억36서울37 아이에스동서(주) 1조 2,529억41서울38 효성중공업(주) 1조 2,525억33서울39 에스지씨이테크건설(주) 1조 1,900억45서울40 엘티삼보(주) 1조 1,830억39부산41 (주)에이치제이중공업 1조 735억43부산42 화성산업(주) 1조 167억44대구43 양우건설(주) 1조 18억42서울44 (주)한양 9,690억38인천45 (주)라인건설 9,566억50전남46 (주)금성백조주택 9,512억47대전47 (주)서한 9,352억48대구48 중흥건설(주) 9,151억40전남49 (주)동양건설산업 8,924억54경기50 씨제이대한통운(주) 8,319억46서울51 (주)대광건영 8,139억58광주52 진흥기업(주) 7,541억56인천53 에이스건설(주) 7,431억57서울54 대보건설(주) 7,390억49경기55 보광종합건설(주) 7,166억52광주56 신동아건설(주) 6,296억53경기57 (주)시티건설 6,105억59서울58 (주)우방 6,021억60대구59 (주)성도이엔지 5,509억68서울60 (주)케이알산업 5,375억61경기61 동원건설산업(주) 5,299억63경기62 경동건설(주) 5,276억55부산63 (주)대원 5,251억77충북64 남광토건(주) 4,953억73경기65 일성건설(주) 4,901억64인천66 극동건설(주) 4,838억66부산67 (주)유승종합건설 4,550억62인천68(주)라인산업4,306억106광주69 경남기업(주) 4,249억75충남70 삼부토건(주) 4,223억67서울71 (주)보미건설 4,163억65서울72 (주)태왕이앤씨 4,137억72대구73 디에스종합건설(주) 4,025억96광주74(주)우미개발3,961억113광주75 대우산업개발(주) 3,955억83인천76 동문건설(주) 3,928억87서울77 요진건설산업(주) 3,814억74강원78 (주)삼정기업 3,800억71부산79 계성건설(주) 3,794억94전북80 (주)원건설 3,756억92충북81 혜림건설(주) 3,598억102광주82 (주)협성종합건업 3,537억81부산83 대우조선해양건설(주) 3,514억82경기84(주)소노인터내셔널3,498억101강원85 파인건설(주) 3,457억89대전86 삼환기업(주) 3,449억85서울87 (주)모아종합건설 3,441억98광주88 강산건설(주) 3,396억95서울89(주)우남건설3,388억142경기90 대상건설(주) 3,378억84경기91자이에스앤디(주)3,363억211서울92(주)금성백조건설3,363억124세종93 동아건설산업(주) 3,306억93서울94 이수건설(주) 3,263억116서울95 (주)선경이엔씨 3,068억78경기96 (주)동일스위트 3,062억104부산97 금광기업(주) 3,061억90전남98 (주)흥화 3,035억88경북99 (주)협성건설 3,016억69부산100(주)화성개발3,015억112대구
담주로또1등
2022-11-08 조회수 618 6 6
작년 고점에 판사람들 부럽다
기쎈언니
2022-11-08 조회수 197 0
게시판 썸네일
아무것도모르는 애들은 멍청한 대깨가되어가죠
이건이다
2022-11-08 조회수 296 0 2
박근혜 대통령일 때로 기억하는데요. 당시에 생애최초 아파트 구입 시 1% 고정금리로 선착순 진행한다고 했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제가 구입할까 말까 고민했다가.... 당시 월급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워서 포기했었는데요. 비슷하게 한 번만 더 기회가 온다면! 무조건 구입합니다!!! 그때 전 구입 못하고 회사 동료는 잘 구입해서 지금도 아주 편안하게 지내고 있더라고요 ㅎㅎㅎ 기회가 왔을 때 잡은 자와 못 잡은 자의 괴리가 너무 크네요 ㅠ 내년 그리고 내후년 중에 꼭 구입해보려고 합니다. 
까꿍
2022-11-08 조회수 137 0
금리는 더오르고 집값도 더내린다는데 전국실거래건수는계속 올라오고 있네요.물론 원하는 매물 적당하게 내려왔다고 최저가로 여기저기 비교해서 결정했겠지만 저라면 이시기에 계속 존버했을것 같거든요. 몇몇건은 증여나 지인으로 명의이전거래일수도 있는데 지금 매수하시는분들은 부동산 고수 일지하수일지 판단이 안가네요.....
아휴
2022-11-08 조회수 151 0 1
폭락이 아니고 금리나 경제상황에 맞게 거품빠지면서 정상화라고 불러야죠. 2020,2021 유동성상승이다 저금리가 불러온 상황이다 다른나라도 같은 현상 보인다 임대차 3법은 악법이라더니 그거 덕보는 집주인 많은듯 한데요? 금리상황보라 해도 귓등으로도 안듣고 김현미 문정부만 찾아 조리돌림만 하더니 주변에 다들 이자낼 걱정하고 있네요 ㅎ  요즘 이자는 김진태씨발 사태부터 정부가 잡지도 못하더만 추경호 윤석열 조리돌림은 별로 못보네요. 종편좀 그만보시고 암튼 각자도생하시고 티비니와서 집없어서 집값오른다고 노래를 부르던 사람들은 몇년있다 티비 나올테니 그때도 보시고 영끌 하시면 됩니다.
매너100도
2022-11-08 조회수 184 0 1
고금리기조 유지되면 현금부자 이자에 살맛나는거고,급매 줍줍도 가능이고뭐 이래저래 이미 실현된 자산 가진사람이 승자네요.서민집 상위1%알파인재들도 웬만한 재테크상승 없으면 근로소득만으로는 은수저 반백수 아들도 못이기는 세상이네요.
랄라여사
2022-11-08 조회수 178 1 2
7년 연속 시장을 맞췄던 이상우조차 알고보니 그냥 묻지마 가즈아를 외치는 인간이었을 뿐이고  최근에 부동산 하락을 강하게 주장하는 한문도는 2013~2015년도에 줄기차게 하락을 주장했던 인간이었을 뿐이고  [ 광수형이랑 상욱이형은 2013년 초에 상승을 강하게 외쳤는데 2019년에 너무 빨리 하락을 외쳐서 욕 너무 많이 먹고ㅠㅠ ]  그나마 아파트 사이클 연구소 이한철 소장이 2019년에도 가즈아를 외치고 2021년부터 하락을 외쳐서 맞췄다고 봐야 할 것 같기도 하네요  참 전문가는 없어요  + 라이트하우스나 선대인 같은 아저씨들은 그냥 아무것도 모르니 무시하면 되고 
미조
2022-11-08 조회수 426 0 3
게시판 썸네일
[1월 13일 오후 서울 강북구 번동 북부수도사업소에서 열린 현장 설명회에서 '모아주택' 개발 계획을 발표하는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강남 일원동 대청마을 1곳이 모아타운에 추가로 선정됐습니다다. 이번 선정에서는 반지하 주택비율, 상습침수지역 여부 등이 최우선으로 고려됐습니다.8일 서울시는 전날 ‘대청마을 모아타운 대상지 선정 소위원회’를 열고 일원동 619-641 일대를 추가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서울시는 △반지하 건축물 비율 및 상습 침수지역 여부 △모아주택(소규모주택정비사업) 집단추진 여부 △건축물 노후도·슬럼화 심화로 인한 시급성 △주민 갈등 △지구단위계획 등 기존 도시관리계획 수립 취지 부합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대상지를 추가 선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선정되지 않은 1곳(일원동 663-686 일대)은 주민 반대 등 사업추진 의사가 적은 지역임을 감안해 선정에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시는 대청마을은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층수·아파트가 제한돼 개발이 어려운 지역이었으나 모아타운 대상지에 선정되면서 모아주택 사업을 통한 아파트 건립이 가능해짐에 따라 향후 이에 상응하는 적절한 공공기여를 반영하도록 했습니다.해당 지역은 지구단위계획에서 1종지역은 4층 이하, 2종지역은 7층 또는 12층 이하로 제한돼 있고, 아파트는 불허 용도로 되어 있어 향후 모아타운 관리계획 수립 시 규제사항을 완화하되 개발이익을 고려해 공공기여를 제공토록 조건을 부여한 것입니다.아울러, 모아타운으로 선정된 지역 내라도 상가 소유자 등이 사업추진에 반대하는 곳은 사업시행구역에서 제척토록해 존치 또는 개별적으로 정비할 수 있게끔 관리계획을 수립할 예정이입니다.추가 선정된 대청마을 1곳(일원동 619-641 일대) 역시 부동산 투기 세력 유입을 막기 위해 올해 하반기 모아타운 대상지 공모 신청지 전 지역에 설정, 지정·고시한 ‘10월27일’로 권리산정기준일을 적용받습니다. 
최악의세대
2022-11-08 조회수 351 0
게시판 썸네일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 photo 뉴시스미국 기준금리는 이제 4% 시대에 접어들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1월 3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3.0~3.25%%에서 3.75~4.0%로 0.75%포인트 인상한 뒤 대출자들의 부담은 극에 달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는 대신에 '더 오래, 더 높이' 올릴 것"이라고 예고한 상태다.이번 예고는 지난 9월 FOMC가 전망한 최종금리 중간값(4.6%)보다 더 올리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미 미 기준금리는 2008년 1월 이후 14년 만에 4%대에 진입했다. 시장은 파월의 발언을 두고 사실상 금리 5% 시대가 열린 것으로 해석한다. 일부는 6%대 진입도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씨티은행은 연준의 최종금리를 5.25~5.5%로 올려 잡았다.국내 기준금리 4%되면 대출금리 9~10% 도달할 수도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이미 1.0%포인트로 확대됐다. 이런 흐름에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차주들의 공포감은 커지고 있다. 한미 금리차가 벌어지는 건 외국인 자금 이탈, 소비자 물가 상승 등을 불러올 수 있는 악재다. 한국도 미국을 따라 최종금리를 4%대로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지난 금융통화위원회 기자회견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종 기준금리를 3.5% 수준으로 본 시장 기대에 대해 대부분의 금통위원이 같은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도 최종금리를 3.5% 정도로 보는 예상이 많았는데 미국의 광폭 인상이 문제였다. 따라잡기 위해서는 국내 기준금리 인상폭도 커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적지 않다.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장금리도 오른다. 이는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미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의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신용대출 등 여신금리 상단은 대출 종류와 상관없이 7%를 넘어 8%를 목전에 두고 있다. 아직 이번 미국 금리 인상 효과가 반영되지 않은 금리다.만약 연준의 인상을 고려해 국내 최종금리가 4%가 된다면 기준금리와의 스프레드(금리차)를 감안할 경우 9~10%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한은과 대한상공회의소의 분석에 따르면 한 번 빅 스텝을 단행할 때마다 가계의 이자는 6조 5000억 원이 상승한다.개인이 갚아야 할 대출이자는 공프스럽다.만약 주담대 3억원을 30년 만기의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으로 갚을 경우 5%의 대출금리 때는 월 161만원을 갚아나가야 하지만 9%가 될 경우 241만원을 갚아야 한다. 월 80만원이 더 붙는 셈이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78.5%다. 10명 중 7명이 이자 부담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는 셈이다. 
최악의세대
2022-11-08 조회수 653 1
게시판 썸네일
좋은 영상 공유합니다.오늘도 화이팅 넘치는 하루 되세요
장마담
2022-11-08 조회수 208 1 2
범이아범
2022-11-08 조회수 170 0
금리가 높아도 집값이 상승기면 버틸수 있습니다하지만 지금은 금리 폭등에 집값 하향이죠?이제 많이 떨어졌다고 매수할까?라고 생각하는분들간혹 있더라고요 금리 무시하시면 안됩니다3억을 지금처럼 7~8% 금리로 대출 받으면5년만 지나도 이자만 1억이 넘어갑니다 때가 언제라고 신이 아닌이상 알수 없지만지금은 아닐겁니다미국 금리는 이번에 또 올랐고우리도 똑같이 따라갈겁니다 아마 더 떨어질거고 힘든상황은지속될거에요개인적으로는 더 많이 떨어져서줍줍하고 싶은 사람이라금리만 감당하고 있는중이지만 작년,올해 영끌한 사람들 혹은 이때다싶어서 매수할 사람들쉽지 않을겁니다
deep
2022-11-08 조회수 244 0 1
엘리프
2022-11-08 조회수 976 1 3
게시판 썸네일
9500세대 대단지 중층 24억->16억대30% 하락19년 7월가격으로 돌아감
평행선
2022-11-08 조회수 183 0
모집공고보면 대부분이 고분양가던데이런 분위기에 팔리기는 하는지..결국 미분양나서 나중에 할인분양하려나요
목표100억
2022-11-08 조회수 270 0
관종1호
2022-11-07 조회수 219 0

PREMIUM 분양